반응형
헤데라 해시그래프(Hedera Hashgraph)는
블록체인과는 다른 형태의 분산원장 기술(DLT,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)로,
해시그래프(Hashgraph)라는 독자적인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.
기존 블록체인보다 더 빠르고, 더 공정하며, 더 안전한 거래 처리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
🔹 핵심 개요
- 명칭
Hedera Hashgraph
- 기술 기반
해시그래프 (Hashgraph)
- 공식 토큰
HBAR
- 합의 메커니즘
가십 어바웃 가십(Gossip about Gossip) + 가상 투표(Virtual Voting)
- 출시일
2018년 테스트넷, 2019년 메인넷 론칭
- 설립자
Leemon Baird, Mance Harmon
🔹 블록체인 vs 해시그래프
블록체인 | 해시그래프 | |
데이터 구조 | 블록의 체인 |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(DAG) |
합의 방식 | 작업증명(POW), 지분증명(POS) 등 | 가십 프로토콜 + 가상 투표 |
속도 (TPS) | 수십~수천 | 최대 수십만 (Hedera는 수만 TPS 달성 목표) |
공정성 | 채굴자 / 검증자 중심 | 시간순서 기반 / 공정성 강화 |
에너지 효율 | 낮음 (특히 POW) | 매우 높음 |
🔹 작동 원리
1. 가십 어바웃 가십 (Gossip about Gossip)
- 각 노드가 다른 노드에게 랜덤 하게 자신이 알고 있는 거래 정보를 전달함.
- 이 과정에서 누구와 언제 대화했는지도 함께 전달되어 정보 전파 경로가 만들어짐.
2. 가상 투표 (Virtual Voting)
- 정보 전파 경로를 기반으로 각 노드는 별도의 커뮤니케이션 없이도 투표 결과를 유추할 수 있음.
- 합의에 이르기 위한 실제 투표가 필요 없기 때문에 빠르고 효율적임.
🔹 장점
- 높은 확장성
초당 수만 건의 거래 처리 가능 (테스트넷 기준)
- 에너지 효율성
PoW 기반 블록체인보다 에너지 소비가 극히 적음
- 보안성
비잔틴 장애 허용(BFT) 모델 기반
- 공정성
거래의 순서가 시간 기반으로 자동 정렬됨 (채굴자 선택 불필요)
- 법적 실체 존재
Hedera는 기업 연합(Hedera Governing Council)을 통해 관리
🔹 거버넌스 (Hedera Governing Council)
- 최대 39개의 글로벌 기업 및 기관이 거버넌스를 담당
- Google, IBM, LG, Boeing, Deutsche Telekom 등 유명 기업들이 참여
- 이사회 방식으로 네트워크 업데이트와 정책을 결정
🔹 HBAR 토큰
- 네트워크 사용료 (거래 수수료, 스마트 계약 실행 등)
- 스테이킹(검증자 보상)
- 보안 강화 (Sybil 공격 방지)
- 토큰 공급량: 500억 HBAR (고정 공급량)
🔹 주요 사용 사례
- 공공 기록 시스템 (의료 데이터, 토지 등기)
- 결제 시스템 (빠르고 저렴한 마이크로 결제)
- 스마트 계약
- 토큰화 플랫폼 (HTS: Hedera Token Service)
- 토큰 공급량: 500억 HBAR (고정 공급량)
🔹 HBAR 요약
🔄 유통량 | 고정 공급: 500억 HBAR |
⚡ 거래 속도 | 수만 TPS |
🕒 확정 시간 | 3~5초 |
💰 수수료 | 약 $0.0001 수준 |
♻️ 에너지 효율 | 탄소 중립 / 친환경 |
🛡️ 보안성 | aBFT 기반, 매우 강력한 보안 |
🧠 거버넌스 | 대기업 중심의 위원회 운영 |
💼 사용처 | 수수료 지불, 스마트 계약, 토큰 발행, 스테이킹 등 |
반응형
'블록체인 세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한민국 대표 암호화폐 거래소 UPbit (0) | 2024.08.23 |
---|---|
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 (0) | 2024.08.23 |
나스닥 상장 코인베이스 (0) | 2024.08.21 |
암호화폐 거래소 이야기 Gemini (0) | 2024.08.19 |
ALGO 알고랜드 (0) | 2024.08.14 |